SuperClaude 소개
AI 기반 개발 도구가 점점 더 복잡하고 다양해지면서, 단순한 코드 보조 도구를 넘어 실질적인 개발 지원 체계를 갖춘 프레임워크의 수요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Anthropic의 Claude와 같은 고성능 LLM(Language Model)을 활용한 개발 방식이 대중화되면서, 이를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런 배경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SuperClaude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Claude Code를 확장하고 구조화하여, 개발 전반을 지원하는 명령어 체계, 전문화된 인지 페르소나(Persona), 토큰 최적화 및 증거 기반 개발 방식 등을 제공합니다.
기존 Claude 사용자가 겪는 한계는 주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 부재, 명확한 개발 흐름의 부재, 그리고 다양한 기술 도메인에서의 전문성 부족이었습니다. SuperClaude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페르소나를 통해 역할 기반 접근 방식을 도입하고, 명령어 중심의 워크플로우를 구성하며, 개발 맥락(context)을 유지할 수 있도록 MCP 통합 등을 지원합니다.
개발자가 Claude를 통해 실질적인 프로젝트 구현을 진행하려면 단순히 모델에 질문하는 수준을 넘어서, 개발, 테스트, 분석, 배포, 문서화 등의 복잡한 프로세스를 조직적으로 다룰 수 있어야 합니다. SuperClaude는 이 전 과정을 아우를 수 있는 통합적인 프레임워크로서 기능하며, 개발 팀 단위의 효율성과 일관성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SuperClaude는 기본적인 Claude Code 사용 방식에 비해 다음과 같은 차별성을 가집니다:
항목 | 공식 Claude Code | SuperClaude |
---|---|---|
전문성 | 일반적인 질문 응답 | 도메인별 인지 페르소나 |
명령 체계 | 수동적 사용 | 18개 워크플로우 명령어 |
컨텍스트 | 세션 기반 | Git 체크포인트, MCP |
토큰 사용 | 비최적화 | 압축 및 캐시 기반 최적화 |
개발 방식 | 일반 목적 | 증거 기반, 문서화 중심 |
도구 통합 | 없음 또는 기본 | MCP(브라우저 자동화 등) 통합 |
SuperClaude의 핵심 구성 요소
인지 페르소나 시스템
SuperClaude는 총 9개의 도메인별 인지 페르소나를 통해 사용자가 AI와 상호작용할 때 적합한 사고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analyze --code --persona-architect
명령을 사용하면 시스템 설계에 특화된 분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페르소나들은 단순히 역할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AI의 접근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꿔줍니다.
SuperClaude가 제공하는 도메인별 페르소나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Persona | Focus Area | Tools | Use Cases |
---|---|---|---|
architect | System design | Sequential, Context7 | Architecture planning |
frontend | User experience | Magic, Puppeteer, Context7 | UI development |
backend | Server systems | Context7, Sequential | API development |
security | Security analysis | Sequential, Context7 | Security reviews |
analyzer | Problem solving | All MCP tools | Debugging |
qa | Quality assurance | Puppeteer, Context7 | Testing |
performance | Optimization | Puppeteer, Sequential | Performance tuning |
refactorer | Code quality | Sequential, Context7 | Code improvement |
mentor | Knowledge sharing | Context7, Sequential | Documentation |
통합 명령어 시스템
개발 생애주기를 커버하는 총 19개의 명령어가 제공됩니다. 예를 들어, /build
, /test
, /deploy
, /review
, /scan
등이 있으며, 각 명령어는 다양한 플래그를 통해 세분화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test --coverage --e2e --pup 명령은 통합 테스트와 브라우저 테스트까지 지원합니다.
19개의 명령어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수명주기에 맞춰 아래와 같이 총 4개의 카테고리로 나뉘어 있습니다:
-
Development: 개발 관련 명령어 (3개)
/build
: 다양한 스택 템플릿을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초기화하거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빌더 명령어입니다.--react
,--magic
,--tdd
등의 플래그로 프론트엔드부터 테스트 주도 개발(TDD)까지 세부 조정이 가능합니다./dev-setup
: 개발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해 주는 명령어로, CI 구성, 모니터링 설정 등 반복적인 셋업 작업을 자동화합니다./test
: 테스트 프레임워크 명령어로, 커버리지 분석, E2E 테스트, Puppeteer 기반의 브라우저 테스트를 조합할 수 있습니다.
-
Analysis & Improvement: 분석 및 개선 관련 명령어 (5개)
/review
: Claude AI를 활용한 코드 리뷰 명령어입니다. 품질 플래그(--quality
)와 증거 기반 평가(--evidence
)를 결합해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합니다./analyze
: 시스템 구조, 성능, 코드 품질 등의 전반적인 분석을 수행합니다. 시퀀셜 추론(--seq
)이나 페르소나 지정으로 깊이 있는 분석이 가능합니다./troubleshoot
: 운영 환경에서 발생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춘 명령어입니다.--prod
,--five-whys
등의 옵션으로 원인 분석에 도움을 줍니다./improve
: 성능 개선, 코드 리팩토링, 품질 향상 등을 수행하는 명령어입니다. 반복 개선(--iterate
)이나 성능 기준(--threshold
)도 지정할 수 있습니다./explain
: 복잡한 코드를 시각적으로 설명하거나 문서화하는 데 유용한 명령어입니다.--depth
,--visual
등의 옵션으로 설명 수준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Operations: 운영 관련 명령어 (6개)
/deploy
: 배포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명령어로,--env
(배포 환경) 및--plan
옵션으로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migrate
: 데이터베이스 또는 시스템 마이그레이션을 지원합니다.--dry-run
,--rollback
옵션으로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scan
: 보안 및 종속성 검증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명령어입니다. OWASP 기준 점검 및 보안 페르소나와의 연동이 가능합니다./estimate
: 프로젝트 리소스, 시간, 리스크 등을 추정하는 명령어로,--detailed
,--worst-case
옵션 등 정밀한 계획이 가능합니다./cleanup
: 시스템 정리 및 유지 관리를 수행합니다. 불필요한 파일 제거와 설정 검증을 자동화합니다./git
: Git 워크플로우를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브랜치 전략, 커밋 메시지 생성, 병합 전략 등을 자동으로 도와줍니다.
-
Design & Workflow: 설계 및 작업 흐름 관련 명령어 (5개)
/design
: 시스템 아키텍처를 설계할 수 있는 명령어로, DDD, API 설계, 경계 컨텍스트 등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spawn
: 병렬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로, 다수의 태스크를 동시에 실행하거나 모듈별 빌드에 활용됩니다./document
: 문서 생성을 자동화합니다. 코드 기반의 문서화뿐만 아니라 설계 문서, API 명세서 작성도 지원합니다./load
: 프로젝트 컨텍스트를 불러오는 명령어로, Claude가 현재 프로젝트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task
: 태스크 단위의 작업을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업무 관리, 할 일 목록, 역할 분담 등에 유용합니다.
각 명령어는 인지 페르소나와 조합할 수 있어 개발자뿐만 아니라 설계자, 보안 전문가, QA 등 다양한 역할에서 효율적으로 Claude Code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실제 업무 흐름에 맞춰 명령어와 페르소나를 조합하면, 복잡한 프로젝트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MCP 통합
SuperClaude는 MCP(Modular Command Plugins) 시스템과 연동되며, --magic
, --pup
, --seq
, --c7
와 같은 플래그를 통해 다양한 고급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uppeteer를 통한 브라우저 자동화 테스트, Context7을 통한 문서 참조, Sequential을 활용한 다단계 추론 등이 가능하며, 이는 실질적인 프로젝트 개발에 필요한 도구들입니다.
설치 및 구조
설치는 단일 스크립트(install.sh)로 가능하며, 업데이트 모드, 드라이런, 자동 백업, 플랫폼 감지 기능 등을 제공합니다. 기본적으로 ~/.claude/
경로에 설치되며, 기존 설정과의 충돌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성 방식
- 모든 설정은 CLAUDE.md에서 중앙 관리됩니다.
- @include 시스템을 통해 구성 요소 재사용이 가능하며, 중복을 최소화합니다.
- 명령어, 페르소나, 설정 템플릿이 모두 모듈화되어 있어 확장성이 뛰어납니다.
사용 예시
UI 중심 개발
/build --react --magic --watch --persona-frontend
아키텍처 설계 및 구현
/design --api --ddd --bounded-context --persona-architect
/build --api --tdd --coverage --persona-backend
운영 및 문제 해결
/troubleshoot --prod --persona-analyzer
/analyze --profile --perf --seq
프레임워크 자체 개선
/analyze --introspect
/improve --introspect --persona-performance
라이선스
SuperClaude 프로젝트는 MIT 라이선스로 공개 및 배포되고 있습니다. 상업적 사용에 제한이 없으며 자유로운 수정 및 배포가 가능합니다.
SuperClaude 프로젝트 GitHub 저장소
이 글은 GPT 모델로 정리한 글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원문의 내용 또는 의도와 다르게 정리된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관심있는 내용이시라면 원문도 함께 참고해주세요! 읽으시면서 어색하거나 잘못된 내용을 발견하시면 덧글로 알려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파이토치 한국 사용자 모임
이 정리한 이 글이 유용하셨나요? 회원으로 가입하시면 주요 글들을 이메일
로 보내드립니다! (기본은 Weekly지만 Daily로 변경도 가능합니다.)
아래
쪽에 좋아요
를 눌러주시면 새로운 소식들을 정리하고 공유하는데 힘이 됩니다~